Linux 나 Unix 환경설정에서는 Config 파일을 문서 편집기(Editor)를 이용하여 수정 편집 하곤 합니다.
개발자에게는 필수인 이 Editor 중에서 예전부터 리눅스나 Unix에서 기본 사용되어진 편집기가 있습니다. 바로 Vi편집기 인데
요즈음은 Vim 편집기도 기본 탑재 입니다.
Vi 편집기에 비해 Vim 편집기는 색상으로 비쥬얼과 빠른 시인성을 높였으며 기타 몇몇 기능이 상향되어진 편집기입니다.
vi 편집기에서 파일을 열때는
vi file1 명령을 실행하면 열리게됩니다.
vi file1 file2 ==> file1 file2 를 차례대로 열게 됩니다.
vi 명령어 (명령모드)
k | 커서 위쪽 이동 |
j | 커서 아래 이동 |
h | 커서 왼쪽 이동 |
l | 커서 오른쪽 이동 |
/ 문자 | 위에서 아래로 문자 찾기 |
? 문자 | 아래에서 위로 문자 찾기 |
dd | 현재 줄 잘라내기 |
yy / yw | 현재 줄 복사 / 단어 복사 |
u / U | 한 번 실행 취소 / 한 줄 실행 취소 |
0 or Home | 줄의 처음으로 이동 |
$ or End | 줄의 끝으로 이동 |
x | 커서 다음 한 문자 삭제 |
X | 커서 이전 한 문자 삭제 |
D | 커서 뒤 한 줄 끝까지 삭제 |
p | 커서 뒤에 붙여 넣기 |
P | 커서 앞에 붙여 넣기 |
Ctrl + d | 반화면 아래로 이동 |
Ctrl + u | 반화면 위로 이동 |
vi 명령어 (종료 모드)
:w | 파일 저장 |
:w! | 파일 강제 저장 |
:q | 저장 없이 종료 |
:q | 저장 없이 강제종료 |
:wq | 파일 저장 후 종료 |
:w! | 파일 강제 저장 |
:e! | 파일 수정내용 취소 후 저장 |
:zz | 파일 저장 후 종료 |
'IT이야기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 구성 종류 및 설명(디스크 레이드 구성) (0) | 2017.02.24 |
---|---|
crontab(스캐줄러) 사용법 (0) | 2017.02.22 |
무료 아이콘 사이트(무료이미지) (0) | 2017.01.12 |
SVN, CVS (0) | 2016.09.02 |
리눅스 명령어 (0) | 2016.07.05 |